우리는 두뇌 동작에 따라 느끼고, 말하고, 행동한다. 두뇌 동작은 신경망의 동작이고, 이 신경망은 프로그램된 대로 동작한다. 그리고 프로그램된 대로 동작하면 우리는 습관대로 산다. 습관대로 살면 환경이 변하면 적응할 수가 없다.…
Posts published in “Brain”
나는 밥을 아주 빨리 먹는 편이다. 중학교 때 기차 통학을 하면서 만든어진 습관이다. 그래서 여러 사람과 같이 식사를 할 때면 곤혹스러울 때가 있다. 나는 식사를 다 하고 숫가락을 놓으면 상대는…
우리는 착각하고 살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면 상황이 모두 종료되고 우리는 옛날로 돌아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 말이다. 그러나 한번 생각해 보자. 코로나19는 백신이 개발되어…
어저께 엄마 산소에 벌초를 하면서 엄마 생각을 많이 했다. 나는 엄마를 생각하면 미안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엄마를 너무 몰랐고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엄마가 무릎이 아프다고 하시면 “늙으면 다…
코로나19로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특히 가난한 사람들의 타격이 크다. 부자들은 별 문제가 없겠지만, 수십만원씩 하는 진단도 가난한 사람들은 개인적으로는 엄두도 못내고,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로 먹고 사는 생존의 문제에 부딯치는…
19세기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와 덴마크 심리학자 칼 랑게는 제임스-랑게 효과를 주장하였는데, 이는 감정 때문에 몸에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몸의 생리적 변화 때문에 감정을 경험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즉…
우리는 남보다 똑똑하여 경쟁에서 이기는 아이로 키우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한 푼이라도 더 벌어서 자식에게 물려주려고 안달이다. 그래야 아이가 행복하게 살아갈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이 사람을 대신하여 일자리가 없어지는 미래사회에서도…
우리는 화를 다쓰리지 못해 많은 고통을 당하면서도 화를 제어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화를 내는 순간 화를 알아채지 못하고, 자동적으로, 무의식적으로, 프로그램된 대로 신경망이 동작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당연히 내가 결정하여 말하고,…
사람들에게 “왜 대학에 가려고 하는가?”, “왜 취직을 하려고 하는가?”, “왜 돈을 벌려고 하는가?” 하고 물어보면 여러 가지 대답이 나오지만, 궁극적으로는 모두 “행복하게 살고 싶어서 그런다”고 한다. “왜 돈을 벌려고 하는가?”…
심리학자들이 기본감정으로 분류하는 행복, 슬픔, 불안, 분노 중에서 앞의 3가지는 내면의 문제이지만, 분노는 말이나, 표정, 행동으로 분출되기 때문에 부작용이 크다. 비행기에서 스튜어디스에게 화를 냈다가 감옥에 가기도 하고, 부부간에 말다툼으로 이혼하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