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노인전문 의사가 수천명의 노인을 돌보면서 적은 글 노인이 질병이나 인지장애로 몸져 눕거나 누군가의 도움 속에서 살아가는 평균 기간이 남성은 9년, 여성은 12년이다. 남자의 건강수명은 73세, 여성은 76세이고, 수명은 남성이…
Posts published in “독서메모”
“통증은 상처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두뇌가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메카니즘이다” 라는 전제하에 통증을 바라보는 관점, 치료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신경가소성의 입장에서 통증을 바라보고 있는데, 나라는…
인간이 쓴 독후감과 인공지능이 쓴 독후감의 차이가 무엇일까? 인간이 독후감을 쓸 필요가 있을까?인류 보편의 입장(다수의 사람이 어떻게 생각할까)의 차원에서 독후감을 쓰려면 인공지능이 더 잘 쓴다. 그러나 이정태 개인이 느낀 독후감은…
우리는 사람을 얻는 방향으로 살아야 한다. 내가 지금 하는 이 선택이 사람을 얻는 선택인지 생각해 보라. 미국에서는 누가 옆에 와도 한던 이야기를 계속하다가 Execuse me 하면 쳐다본다. 그만큼 남의 이야기에 신경쓰지…
식사량을 줄이면 오래 살고 건강하게 산다. 식사량을 30% 줄이면 수명이 30% 늘어난다. 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하나의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하나의 코메디다. 비타민S를 많이 습취하라. Smile 인생에서 피해야 할 3가지가 초년…
서울대학교 병원에 암전문의로 근무한 의사가 평생 암환자를 진료하면서 적은 글 현대 사회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는 생로병사의 과정이 대부분 의료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한 해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은 약 28만명이다. 이 중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은 뇌가 만들어낸 착시 현상이다. 우리 눈에 보이는 현실은 세상의 실상이 아니다.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은 인풋이 아니라 뇌의 해석을 거친 결과물, 즉 아웃풋이다. 모든 사람에게 현실은 동일하지 않다.…
행복은 우리 뇌에서 생성된다. 우리가 인지하고, 기억하고, 생각하고, 상상하는 그 모든 것이 뇌에 의해 발생된다. 도파민은 중변연계 보상회로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을 지원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뇌는 우리가 자신이 “인정하는 행동을 했다”는 것을…
인생에 닥칠 위기나 비상사태에 철저히 준비만 한다면 적어도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거친 물에 휩쓸렸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는 잔잔한 물에 있을 때 미리 생각해 두어야 한다. 나는…
노년이 되면 몸도 여기저기 아프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두뇌 신경망의 퇴화다. 이에 따라 노인들의 말과 행동에 여러가지 현상이 일어나는데, 일본의 의사인 저자가 수많은 노인을 만나면서 알게 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