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을 잃은 사람, 상실의 아픔을 겪은 사람을 어떻게 위로하는 것이 좋을까? 결론은 “아무 말도 하지 말자”이다. 어떤 말로도 위로하기가 쉽지 않다. 조용히 곁에 있어주는 것, 그 사람이 도움을 요청할 때…
Posts published in “독서메모”
평소 행동 패턴을 알면 이 사람이 어디에 있을지 평균 두 곳 이내로 좁힐 수가 있다. 인간의 이동 패턴을 정확히 예측하는 확률은 무려 93%라는 수치가 나왔다. 우리의 행동은 80% 이상 정해진…
버틸 수 있는 선을 넘어서면 우리 몸은 한순간에 무너진다. 그 지점이 임계점이며, 죽음도 바로 그렇다. 죽음은 직선적이지 않다. 임계점을 넘어서면 몸은 한순간에 꺾인다. 임계점을 넘어서는 순간 몸은 순식간에 변한다. 이쪽은…
매일 아침 침대에서 일어나기 힘든가요?, 자도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나요?, 역류성 식도염으로 고생하나요?, 자극적이고 단 음식이 당기나요?, 이러한 질문에 한 번이라도 고개를 끄덕였다면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건강을 위한 첫 걸음은…
2016년 3월 9일 알파고가 처음으로 이세돌을 격파하였다. 위대한 작품이 중요하지, 그것을 꼭 사람이 만들어야 하느냐 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인공지능이 5분에 한 편의 소설을 쓴다면 하루에 288편, 1년에 10만…
인간의 뇌는 감정을 담당하는 전두엽부터 줄어든다. 정상적인 노화에서 전두엽, 특히 전두극의 감소 정도가 가장 크다. 두뇌가 노화하면 감정이 오랫동안 지속된다. 할 수 없었던 일이 아니라, 할 수 있었던 일에 눈길을…
회복 탄력성을 키우는 4 단계 과정은 인식, 소속감, 호기심, 추진력 이 네 가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회복 탄력성을 키우고 유지하려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관찰하고 이해해야 하며 감정과 생각은 순식간에 지나간다는 점을…
뇌파 등으로 두뇌 동작을 체크하면 그 사람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테러리스트의 협조를 얻어내려면 뇌에 옥시토신이 분비되도록 만들면 협조를 얻을 수 있다. 사람들의 두뇌를 측정하면 이들이 어떻게 행동할지, 무엇이 그런…
다가 오는 20년간의 변화는 과거 300년간 겪은 변화보다 더 클 것이다. 미래는 그냥 우리 앞에 출현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매일 만들어 가는 것이며 바로 이 순간 우리가 내리는 결정에 의해…
도파민은 기대치보다 보상이 많이 주어질 때 분비된다. 세상에 대한 너의 인식은 나의 삶에 영향을 준다. 그래서 나의 세상을 지키기 위해 너의 인식을 바꾸고 싶은 것이다. 내가 나와 다른 견해를 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