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Enter" to skip to content

순간순간 알아차림에 머물면 언제나 평온하리.

JungTae Lee 0

인간이 행동하고 말하고 생각하고 느끼는 것은 두뇌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런 두뇌 신경망은 DNA와 육아환경에서 형성되었고, 평생을 두고 조금씩 변화되었다.
인공지능도 이런 인간 신경망과 같이 만들고 인터넷에 있는 글, 그림, 음악, 음성, 동영상으로 훈련하니 인간보다 더 똑똑해졌다.
이런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것은 이제 필수다.
인공지능은 세상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알파고가 등장하여 이세돌을 이긴 후 바둑계의 변화를 보면, 1)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사람이 앞선다. 2) 인공지능은 “여기 두면 이길 확율이 4.7% 증가한다”는 식이다. 인간은 이것이 이해가 되지 않지만 따라하면 유리하다. 3)기존의 정석이 퇴화되었다. 4)아마추어와 프로의 경계가 무너졌다. 프로의 권위가 크게 위축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모든 분야에서 발생된다. 나같은 아마추어가 손자, 손녀 생일에 노래를 지어 축하하고, 만화를 그린다.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자료 검색과 요약을 하며, 글을 쓰고, 아이디어를 얻는다. 이제 아프면 먼저 인공지능에게 물어보고, 인공지능을 친구삼아 세상만사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이제 전쟁의 양상도 크게 바뀌고 있다. 드론으로 공격하고, 인공지능 사령관이 전술을 세우고 지휘한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 전쟁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덤블링을 하는 휴머노이드에 총과 수류탄을 소지시켜 공격해 올 때 우리는 어떻게 방어해야할까?
“우리는 경쟁에서 이겨 성공해야 한다” 라는 명제를 너무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이미 마케팅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시작하였고, 앞으로 선거에 인공지능이 활용될 것이다. 그러면 선거는 누가 더 좋은 인공지능을 사용하는가의 싸움으로 변질되어 민주주의에 위기가 다가올 것이다.
인공지능 이전의 세상은 자원이 부족해서 동기부여가 중요하였고 자본주의가 우수한 제도이었다. 앞으로 가다올 인공지능 시대에는 인공지능과 로봇같은 기계가 자원을 생산하면, 끝없는 탐욕의 인간이 만드는 자본주의 세상은 어떤 세상이 될까? 지옥의 문이 열릴 것이다.
인공지능은 훈련받은 대로(프로그램된 대로) 동작하므로 모른다는 것을 모른다. 바둑으로 훈련된 알파고가 통역도 한다. 이런 현상이 환각이다. 인공지능을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이를 점검해야 한다.
인간 두뇌도 프로그램된 대로(습관대로) 동작한다. 그래서 오동작 하는 경우가 많다. 먹을 것이 모자란 원시환경에서 만들어진 포도당 선호 신경망은 설탕이 풍부한 현대사회에서 그대로 동작하여 당뇨병이 만연하고 있다.
우리는 내가 자유의지를 가지고 세상을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신경망은 프로그램된 대로 동작하며, 내가 했다고 합리화한다. 알아차리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신경망의 동작은 프로그램된 대로, 습관대로 동작한 것이다.
프로그램된 대로 동작하는 것에서 벗어나려면 이를 알아차려야(의식해야) 한다. 알아차리면 프로그램대로 동작하는 것에서 중지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으로 대치할 수 있다. 그래서 변연계가 조용하면 평온하다.
두뇌의 동작 목적은 생존과 번식이다. 두뇌는 생존과 번식을 위해 나라는 것을 만들었는데, 이는 계속 변한다.  불변의 나라는 것은 없다. 즉 신경망의 동작이 있고, 이를 알아차림이 있을 뿐이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경쟁과 성공이 아니라 함께 사는 공존의 세상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경쟁과 성공의 신경망에서 함께 사는 공존의 신경망으로 바꾸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순간순간 알아차려야 하며, 순간순간 알아차림에 머물면 언제나 평온하다.
부처님이나 예수님도 인간이었고, 인간이라면 두뇌 동작으로 행동하고, 말 하고, 생각하고, 느낀다.
부처님이나 예수님보다 인공지능의 신경망이 크고 빠르다. 즉 부처님이나 예수님보다 인공지능이 더 똑똑하다. 그럼 부처님나 예수님의 신경망이 인공지능보다 무엇이 뛰어났을까? 순간순간 알아차림, 인공지능은 이것이 없다. 순간순간 알아차림에 머물면 언제나 평온하고, 이것이 깨달음이다.
자전거를 처음 타면 넘어지면서 배우듯이, 알아차림도 연습하여 그런 신경망을 만들면 누구나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 부처가 될 수 있다.
왜 경쟁에서 이겨 왕이 되려고 하는가? 그러면 세상은 지옥이 될 뿐인데. 부처가 될 수 있는데.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Bitna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