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이 되면 여기 저기 고장이 생긴다. 그것을 고쳐 원상복구 하고, 옛날 젊을 때처럼 살려고 하는데,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불가능한 일을 자꾸 추구하려고 하면 위축되고 우울해진다. 아픈 것을 받아들이고 관리하며 살자.…
Posts published in April 2023
노인은 2000Hz 이상의 높은 음은 잘 못듣는다. 노인에게는 낮은 목소리로 천천히 정면에서 이야기하라. 모음은 듣기 쉽지만 자음은 듣기 어렵다. 스트레스, 당뇨, 그리고 고혈압은 만병의 근원이다. 헤드폰을 끼고 큰 소리로 들으면…
“나”라는 것을 고집하여,“나”라는 것에 갇혀 사니,잘 바뀌지 않는 것이다.“나”라는 것은 두뇌가 만들었고,가변적임을 알면,바꾸면 되는 것이다.그러면 바꿀 수 있고,좋은 신경망으로 바꾸면,좋은 인생으로 살 수가 있다.
일본의 노인전문 의사가 수천명의 노인을 돌보면서 적은 글 노인이 질병이나 인지장애로 몸져 눕거나 누군가의 도움 속에서 살아가는 평균 기간이 남성은 9년, 여성은 12년이다. 남자의 건강수명은 73세, 여성은 76세이고, 수명은 남성이…
인터넷, 인공지능, 로봇, 드론, 무인자동차, 가상현실, 뇌과학, 생명공학 등의 기술발전으로 세상은 엄청나게 변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회의 틀과 인간이라는 틀 자체가 송두리째 바뀌는 시대이다.스마트폰도 사용할 줄 모르는 노인이 급변하는…
“통증은 상처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두뇌가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메카니즘이다” 라는 전제하에 통증을 바라보는 관점, 치료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신경가소성의 입장에서 통증을 바라보고 있는데, 나라는…
인간이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것은 두뇌 신경망을 통해 이루어진다. 우리 신경망은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도록 왜곡하고, 그에 따라 반응한다.우리 두뇌는 수 천만 년을 통해…
인간이 쓴 독후감과 인공지능이 쓴 독후감의 차이가 무엇일까? 인간이 독후감을 쓸 필요가 있을까?인류 보편의 입장(다수의 사람이 어떻게 생각할까)의 차원에서 독후감을 쓰려면 인공지능이 더 잘 쓴다. 그러나 이정태 개인이 느낀 독후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