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두뇌는 무의식적으로 내 편인지 아닌지를 먼저 파악한다. 원시 밀림에서 낯선 사람을 만나면 적인지 아닌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생존을 보장할 수가 없다. 그래서 우리는 모르는 사람을 만나면 내…
Posts published in January 2022
아무리 큰 금액의 로또에 당첨되어도 1년이 지나면 행복감은 평소와 같아진다. 사고로 다리를 잃어도 1년이 지나면 좌절감에서 벗어나 평상시 감정으로 회복한다. 두뇌가 잊기 때문이다. 유전자는 당신이 행복하기를 바라지만, 유전자를 보존하기 위해…
가까운 친구가 췌장암 선고를 받았다. 앞으로 일어날 일을 생각하니 두렵고, 지난 일을 생각하니 후회가 된다고 한다. 이런저런 생각에 밤을 지새우기도 하고, 남은 가족을 생각하니 걱정이 앞선다고 한다. 왜 그렇지 않겠는가?…
의사인 저자가 죽어가는 많은 사람을 경험하면서 적은 글. 뇌과학시대에는 이런 현상도 다르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죽는 과정에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도 두뇌 동작에서 나온다고 나는 생각한다. 죽기 직전의 사람은 인지 전환(죽어가면서 지각이…
인간 두뇌는 빈약한 정보로 먼저 판단하여 행동하고 뒤에 보완한다. 우리는 많은 것을 알고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행동한다고 생각하지만, 인간 두뇌는 빈약한 정보로 먼저 판단하여 행동하고 뒤에 보완한다. 나에게 무언가 날라 오면…
물리적 세계에서 신이 한다고 생각했던 능력들이 메타버스 세계에서는 인간이 행하게 된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은 허구를 만들고 그것을 믿고 현실로 실현하는 능력이다. 유발 할라리 가상세계에서는 상상하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 라이프로깅은…
우리는 행복하게 살고 싶어 한다. 그리고 돈이 있으면, 권력이 있으면, 출세하면 행복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꿈은 한마디로 이루어질 수가 없다.행복한 사람의 두뇌를 fMRI로 촬영해 보면 보상중추가 동작한다. 보상중추는 오감을…
나무를 심되 그늘을 바라지 마라. 감마파는 집중력, 기억력, 학습력, 행복 등과 관련이 있다. 우리는 왜 수도자처럼 생각해야 할까? 수도자는 가장 침착하고, 행복하고, 목적을 의식하며 사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원숭이 같은 마음이…